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획재정부에서 민생안전 대책 중 생계비 부담 경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민, 취약계층 생계비 부담 및 임차인 주거부담 경감
1. 교통, 통신, 교육 등 서민 생계비 부담 경감
-대중교통 신용카드 소득공제융 상향 (40% → 80%)을 6개월 연장하고,
청년, 저소득층 알뜰교통카드 지원 확대
-승용차 개별소비세 탄력세율 6개월간 연장 인하
-장기 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대상 주택 가격 기준 상향(취득 시 기준 5억→6억)
및 소득공제 한도 확대 추진
-1학기 학자금 대출 금리를 2022년도 수준으로 동결하고 유치원이나 유아학비 지원을 3년 연장
-기존 5G 요금제 일부 해당 구간 등의 다양한 5G요금제 추가 출지 적극 유도, 통신사 마일리지 활용 확대
-공공 와이파이 증설, 전파사용료 면제, 통신사 이동통신방 도매제공 의무제도 일몰 연장
2. 취약계층의 에너지, 먹거리, 생필품 등 핵심 생계비지원 강화
-2023년도 전기요금 인상으로 취약계층 부담이 증가하지 않도록 한전의 복지할인 확대 추진
-전기, 가스요금 인상에 따른 부담 경감을 위해 에너지 바우처 지원 단가 인상
-저소득층 대상 농식품바우처 사업대상지역을 확대
-차상위 이하 가구 및 한 부모가족 대상 지원 바우처 단가 인상
-서민금융 상품의 대출한도 한시증액 조치 1년 연장(최저신용자 특례보증 지원 지속)
-수산공익직불제 지급대상을 영세어업인까지 확대
3. 임차인 주거부담 완화 및 전세 가고에 따른 피해 지원 조치 강화
-추가 대출금리 상승 위험으로 인한 안화 할 수 있는 고정 금리 전세자금대출 상품 확대
-월세 세액공제 대상 주택 기준 상향 (4억 → 5억)
-공공주택 공급, 공공임대 역신 등 새 정부 주거복지 정책을 추후 서민, 취약계층 주거복지 강화로 발표
-전세 빌라사기등 피해자 구제 의한 범정부 법률지원 가동, 보조금 수령, 법률구조 등 다각적 지원
현재 위와 같이 2023년 서민, 취약계층을 위한 정부정책들인데요,
교통, 통신, 주거, 대중교통등 여러 분야에서 취약계층 생계비 지원을 발표하였습니다.
취약계층 지원을 한가구도 빠지지 않게 잘 지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추후에 하나하나 뜯어 가며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할인 받고 납부하기 (0) | 2023.01.17 |
---|---|
연말정산 방법, 환급금 조회 (0) | 2023.01.16 |
스포츠 강좌 이용권 (스포츠바우처) 만들기 신청 조건 (0) | 2023.01.13 |
아동 급식 카드 신청 방법 날짜 조건 (0) | 2023.01.10 |
2023 대구아동 급식카드 현재 (0) | 2023.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