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청년도약계좌 혜택과 신청 방법 그리고 유의할 점

by 대구사남매아빠 2024. 3. 1.

목차

    오늘은 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 도약 계좌란 무엇인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해당 계좌를 만들어 사용하며 유의할 점은 없는지 모든 것을 알아보도록 할께요.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개인이 5년간 월 최대 70만 원씩 저축하게 되면 정부의 기여금과 은행 이자를 더해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게 해주는 복지 정책 제도 중의 하나입니다.

    2023년 정책 예산안제 정식 도입 되어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대상 조건

    • 가입 기간 : 2023년 6월 15일 ~ 2024년 12월 31일 가입 신청, 계좌 개설 기간은 월마다 상이
    • 가입 대상 : 아래의 조건에 모두 충족한 자 만 19세 ~ 만 34세 청년
    • 개인소득요건, 가구소득요건을 모두 충족한 자
    • 가입일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아닌 자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요건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5년간 최대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월납입금과 소득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은행 앱 로그인 후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합니다. "가입하기"를 누르면 조건, 심사기간, 상품가입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나옵니다. "동의하기"를 누르면 가입 신청이 완료되고, 약 2~3주 후에 결과를 알려줍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상세 설명

    2023년 6월에 정부 (서민금융진흥원)가 내놓은 청년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이 계좌는 만 19세~34세까지의 청년이 5년 동안 매월 최대 금액 70만 원씩 납입하면,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소득(15.4%)에 대한 비과세를 적용해 최대 5,0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특징 청년도약계좌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간: 5년 (60개월) 납입금액: 최소 1,000원 이상~월 70만 원 이내(자유납입식, 천 원 단위)
    • 납입한도 : 연간 840만 원까지 금리: 고정금리 (3년) + 변동금리 (2년)

    청년도약계좌의 한계점

    • 5년은 부담: 금리는 연 6%로 은행권 예·적금과 비슷한데 5년 동안 가입해야 한다니 너무 부담스럽다는 의견.
    • 6% 금리, 은행이랑 비슷 : 23년 기준 은행권 예·적금 상품과 비교했을 때 최대 6% 이자율을 적용한다는 점은 장점으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 납입액 범위도 부담 : 소득 기준 월 40만 원에서 최대 70만 원을 내야 한다는 점도 부담 요인.

    2024년에 달라질 청년도약계좌

    2024년에는 청년도약계좌의 몇 가지 변경되었습니다.

    • 비과세 혜택 기간: 5년 → 3년. 5년 만기 중에 3년만 유지해도 비과세 혜택. (단, 3년 후 해지하면 정부 기여금은 받지 못합니다.)
    • 중도해지 인정 사유 추가 : 비과세 혜택, 정부 기여금 모두 유지하면서 해지할 수 있는 사유에 실직, 질병, 내 집 마련, 첫 집 마련 같은 사유들만 해당 됐는데, 결혼과 출산이 추가.
    • 가입요건 소득 사항 변경 : 육아휴직급여도 가입요건 소득에 포함되며, 육아휴직자도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
    •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자 혜택 :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이 가능합니다. 희망적금 만기 시 청년희망적금으로 갈아탈 경우, 희망적금 환급금 1,260만 원을 18개월 차까지 납입해 온 것으로 인정해 줍니다. 이후 19개월 차부터 매월 70만 원씩 42개월간 추가 납입하면 희망적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많은정부정책 확인 해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