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25년 희망저축계좌1 조건 및 혜택 총정리
2025년에도 희망저축계좌1은 여전히 근로 중인 생계, 의료 수급자에게 큰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정부에서 30만 원을 매칭해주는 방식으로, 3년간 유지하면 최대 1,440만 원까지 마련할 수 있는 기회죠. 하지만 조건이 까다로울 수 있기 때문에 가입 전 꼭 체크해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1. 희망저축계좌1란?
희망저축계좌1은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중 근로 중인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본인이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30만 원을 지원해주는 방식입니다. 3년간 유지 후 탈수급 조건을 만족하면 총 1,440만 원의 적립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가입 조건은?
신청 자격: 일을 하고 있는 기초 생계 및 의료 수급자
소득 요건:
- 1인 가구: 세전 월 소득 57만 원 이상
- 2인 가구: 세전 월 소득 94만 원 이상
자산 기준: 3년 동안 총 자산이 500만 원 초과 불가
3. 압류 방지 설정 불가
희망저축계좌1은 압류 방지 계좌가 아닙니다. 따라서 신용불량자나 압류 위험이 있는 경우엔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4. 중복 가입은?
과거에 다른 통장(청년내일저축계좌, 희망키움통장 등)에 가입했더라도 개인 상황에 따라 재가입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자활센터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적립 및 탈수급 조건
적립 방식: 매달 10만 원 납입 + 정부 30만 원 지원 → 3년간 총 1,440만 원
탈수급 조건: 3년 이내에 생계/의료 수급자에서 벗어나야 수령 가능
6. 소득 기준 상세히 보기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 대상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어야 함
전체 소득이 중위소득 40%의 60%를 초과해야 함
1인 가구: 57만 원 이상
2인 가구: 94만 원 이상
7. 소득 하한 및 상한 조건
하한선: 6개월 이상 소득이 기준 이하 → 계좌 해지
상한선: 3개월 평균 소득 500만 원 초과 시 → 계좌 정지
8. 추가 지원금
자활근로 사업단에 참여 중인 경우, 매월 20만 원 추가 지원금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만기 후 6개월 이내 탈수급 조건을 만족하면 적립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9. 모집 일정
1차 모집: 2025년 3월 4일 ~ 3월 14일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자활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공지사항 참고
희망저축계좌1은 정부의 대표적인 자산형성 지원 통장으로, 특히 탈수급을 목표로 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조건이 복잡할 수 있으니 가입 전 꼼꼼히 따져보시고,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한 뒤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추후에는 희망저축계좌2, 청년내일저축계좌 등 다른 자산형성 지원 제도도 자세히 소개해드릴게요!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망키움통장2 (희망저축계좌2) 신청 조건과 혜택 정리 (2) | 2025.04.09 |
---|---|
2025년 대구 조부모 돌봄 수당 신청 방법 (0) | 2025.04.08 |
2025년 대구 다자녀 고등학교 입학축하금 받기 (0) | 2025.04.07 |
2025년 근로장려금 총정리 (자격요건, 신청방법, 지급일 등) (0) | 2025.04.03 |
과학문화 바우처 정부지원금 받아 가세요 (5)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