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울시는 경제적으로나 신체적으로의 여건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도록 해주는 `문화약자와의 동행` 프로그램을 실행한다고 합니다. 청소년들을 위한 무료 공연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사업을 통해 약 60만 명 이상의 청소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모두가 누릴 수 있는 문화매력도시 서울
2023년 문화약자와의 동행 사업 계획을 서울시에서 추친 하기위해 시에서는 약 630억 원이라는 돈을 투입한다고 하는데요. 60만 명 이상의 문화약자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한다고 합니다.
지원대상
- 문화시민으로 성장할 새싹인 청소년과 청년층
- 신체적 불편함으로 문화예술을 누리기 힘든 시민
- 경제적으로 문화예술 향유 기회가 적은 취약계층
- 일상 가까이 문화를 만날 시민 등
서울청년문화패스
문화 지원 분야중 하나의 사업으로 서울시에서는 `서울청년문화패스` 라는 사업도 합니다. 서울에 거주 중인 만 19세 청년 중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1인당 연간 20만 원 상당의 문화 이용권을 바우처(카드) 형식으로 발급해주는 사업입니다. 해당 문화 이용권으로는 연극이나 뮤지컬, 무용, 클래식, 국악 등의 문화예술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오는 4월 19일부터 30일까지 청년몽땅정보통 에서 온라인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공연봄날
서울시에서는 2021년에 처음 도입을 해왔던 `공연봄날` 이라는 지원 사업도 있습니다. 해당 사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고, 올해는 사업 규모를 더 크게 확장하여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확대하여 지원을 한다고 합니다. 지원을 확대하게 되면서 한 해동한 6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양질을 공연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게 되었으며, 4월 첫 공연 후 12월까지 총 20개 이상의 공연장에서 총 45편 정도의 양질의 공연들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체적 불편함으로 어려운 시민을 위한 문화지원 사업
2022년에 시범운영을 하면서 크게 호응을 얻었던 사업인데요. 신체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학생이나 시민들에게 박물관이나 미술관 관람지원 사업을 작년 시법사업을 종료하고 올해 부터는 정식으로 지원사업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바뀌는 점은 작년보다 사업기간을 더욱더 늘려 청 32개의 특수학교의 학생들과 교직원 분들 6천여 명 이상이 `서울시와 함께하는 동행`에 참여 할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또한 재능이 있는 장애청소년들의 재능에 날개를 달아 줄 수 있도록 예술시장에서 직업예술인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만들어 주는 장애지원사업도 계속 이어 나간다고 합니다. 올해는 6월부터 12월까지 70여 명 내외의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지원 사업을 한다고 합니다.
취약계층을 위한 문화 지원과 일상의 문화를 만날 시민들
예술적 재능이 뛰어난 청소년들이 경제적으로 힘들이 꿈을 포기 하지 않도록 서울시에서는 `저소득층 예술 영재 교육 지원사업`을 계속 이어 간다고 합니다.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44만 7,229명에게는 1인당 연간 11만 원의 문화예술국내여행체육활동을 지원하는 통합문화이용권인 `서울문화누리카드`를 발급해줍니다.
서울시 대표 문화예술기관인 세종문화회관은 대표 사회 공헌 프로그램인 천 원의 행복과 예술로 동행으로 공연장의 문턱을 낮추고, 시민들을 직접 찾아가는 공연을 펼치는데요. `서울시립교향악단`은 올해 총 34회 찾아가는 시민공연을 펼쳐 2만 7,000명의 관객에게 클래식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매 공연마다 해설을 곁들여 어렵게만 느껴지던 클래식을 가깝고 친근하게 누릴 수 있다고 합니다.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5월 근로장려금 신청 자녀장려금 신청 달라지는 것은? 신청방법과 자격요건 (0) | 2023.05.03 |
---|---|
2023년 5월 정기 근로장려금 신청기간 신청방법 지급 시기를 알아보자 (자녀장려금) (1) | 2023.05.02 |
근로장려금 자동 신청으로 바뀌나? 국세청 동의하면 2년간 자동 신청 (0) | 2023.04.13 |
내일배움카드 아직도 안쓰고 계셧나요? (신청방법, 지원내용, 지원대상) (0) | 2023.04.11 |
통신요금 감면 혹시 받고 계시나요? 지금이라도 신청하세요. (0) | 2023.04.03 |
댓글